본문 바로가기

슬램덩크

[슬램덩크] 슬램덩크 다이제스트

출처: MLBPARK

거짓말이고 전혀 근거가 없다는 것을
이제는 다 알지만 학창시절 진짜인줄 알고 믿었고,
지금은 다들 그럴 듯한 내용에 슬램덩크 게임 패치 때
이용한다는 다이제스트ㅎㅎ

정리해봅니다.

출처: 검색창에 슬램덩크 다이제스트 또는 다이제스티브라고 치면 나오는 블로그, 카페, 기타 사이트 잡담글들 총종합!



1. 상대고 (SENDAI) [미야기현]


4번 강석훈 3학년 PG 180cm 70kg(*)
5번 최지혁 3학년 PF(SF) 194cm 84kg(*)
6번 노승태 3학년 C 197cm 87kg(*)
7번 최영환 2학년 G(SF) 183cm 70kg(*)
8번 백동호 2학년 C 193cm 93kg
12번 우성민 1학년 SF 188cm 78kg(*)

만능가드 강석훈과 포워드 최지혁의 내 외곽을 가리지 않는 득점력
안정된 인사이드, 강한 수비력을 두루 갖춘 강팀
능동적인 포지션 변화에 따라 트리플타워도 가능하다
산왕에 견줄 수 있는 유일한 팀
강력한 우승후보

제 2시드인 전년도 준우승 팀
전년 대회에서는 산왕과 11점차 승부로 아쉽게 진 강팀 중에 강팀.
본 편에서는 아예 안 나오는 팀이지만 전국 최고 파워포워드 에이스 최지혁, 전국 3대 포인트 가중 하나인 강석훈, 채치수급 센터 노승태, 서태웅급 슈퍼루키 우성민 등 걸출한 선수가 스타팅 라인업

최지혁 3학년 PF(SF) 194cm 84kg
슬램덩크 세계관에서 최고의 파워포워드이자 에이스.

4강에서 김판석의 명정을 만나 김판석을 5점으로 꽁꽁묶고 김판석 머리위로 덩크를 꽂아버리며 팀을 승리로 이끔

강석훈 3학년 PG 180cm 70kg
상대고의 주장이자 이정환 이명헌과 함께 슬램덩크 3대 포인트가드

우성민 1학년 SF 188cm 78kg
아오모리현 중학 넘버원 포워드로서 운동력과 수비력이 탁월한 선수. 전호장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뛰어난 수비력이 일품인 포워드.
전호장과는 중학 동기로 전호장은 자기가 중학교때 1대1로 자기를 이긴 유일한 선수라고 말함
서태웅이 공격위주의 플레이어라면 우성민은 수비가 뛰어난 플레이어
적팀의 어지간한 에이스를 10점 이내로 묶는 뛰어난 수비력을 보여줌


2. 무림고(TAKEJOTA) [카나가와현]

애니에서의 무림고


4번 차혁수 3학년 SF(PF) 186cm 72kg
5번 노성준 3학년 SF(PF) 185cm 73cm
6번 권기철 2학년 C(PF) 190cm 80kg
7번 남재일 2학년 PG(SG) 173cm 53kg
8번 최상욱 2학년 SG 175cm 59kg

주전들의 신장이 크지 않고 포스트진이 약한 편이지만
가드를 중심 으로 한 공격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센터를 제외하고 모두들 슈팅과 속공에 가담한다
주전들의 신장이 작고 체력과 수비가 약한 것이 단점이다. 도내 결선리그(4강전)에서 전패를 기록 한다

최상욱 2학년 SG 175cm 59kg
무림고교의 에이스 플레이어. 상양의 김수겸과 같은 왼손슈터이며 3점슛도 가능한 무림의 주득점원. 무림의 속공을 이끌만큼 발도 빠르다.

차혁수 3학년 SF(PF) 186cm 72kg
무림고교의 주장. 무림의 특징인 속공에 적극 가담하는 편이지만 주장치고는 기량이 약하고 빨리 지치는 약점이 있다.

권기철 2학년 C(PF) 190cm 80kg
무림의 약한 포스트진을 책임지는 조력자로 센터치곤 작은 키에 체력이 약하고 다른센터에 비해 중량감이 부족하다.

노성준 3학년 SF(PF) 185cm 73cm
무림고교의 부주장. 플레이 스타일은 속공에 가담해서 공격하고 권기철을 도와 인사이드를 지킨다.

남재일 2학년 PG(SG) 173cm 53kg
무림의 주전포인트가드. 체력은 가드치고는 매우 약하고 활약도 그다지 좋게 한 모습을 보인 적도 없었다.


3. 유성고(YUKUWATA)


4번 나현일 3학년 SF 190cm (*)
5번 강기훈 3학년 C 190cm (*)
6번 박시현 3학년 F 187cm (*)
7번 사진우 2학년 PG 179cm (*)
8번 김상민 2학년 G 175cm (*)

작년도 상대고와 전국대회 8강전에서 패한 이력이 있다. 1년 사이에 기량이 일취월장한 2학년 포인트가드 사진우와 전국 탑클래스급 포워드 나현일의 투맨팀

전년 대회에서도 상대에게 85-118로 패하고 이번 전국대회에서도 상대고에게 패함
원래는 나현일 원맨팀이었지만 점차 팀원들도 수준이 올라가고 있음

나현일 3학년 SF 190cm
산왕의 정우성급 스몰포워드로 유성고의 에이스.
정우성 이전은 물론 정우성이 고교무대에 데뷔할때부터 전국의 넘버원인 선수였으나 원맨팀의 한계로 전국에 알려지지 않았던 전설적인 선수.
이정환-윤대협의 전국판 라이벌구도가 정우성-나현일

사진우 2학년 PG 179cm
1학년일땐 유성이 상대에게 참패했을때 벤치에서 무기력하게 지켜보고있었지만 2학년때 실력이 일취월장하여 나현일과 함께 유성을 이끄는 포인트가드로 성장. 3대 수비전문 선수중 한명으로 뽑히기도 한다.


4. 명정공업고 (MEIHO) [아이치현]


4번 김기완 3학년 PG 178cm (*)
5번 김명준 3학년 C 198cm (*)
6번 최준혁 3학년 SF 188cm (*)
7번 하석진 2학년 SG 185cm (*)
8번 김준형 2학년 F 185cm
15번 김판석 1학년 C 199cm 100kg (*)

15번의 괴물신인 센터 김판석의 골밑장악이 팀의 주무기 내외곽이 모두 강하다.
두 명의 센터의 의한 더블포스트는 강력한 골밑 파워를 자랑한다. 지역예선에선 지학을 대파했으며 전국대회 돌풍의 주역이다.

전국 대회에서는 일단 강력한 센터 김판석의 힘으로 1회전에서는 전년도 8강팀인 상성에게 대승을 거두고, 기타 다른 팀들을 압도, 8강에서는 대영고교를 격파
4강까지는 올라와서 상대와 맞붙게 됨.
하지만 김판석은 상대의 전국 최고 파워포워드 최지혁과 센터 노승태에게 무참히 막히며 결국 명정은 상대에게 30점차로 대패하게 된다.


5. 지학고 (AIWA GAKUIN) [아이치현]


4번 마성지 3학년 SG 185cm(*)
5번 김성환 3학년 PG 178cm(*)
8번 김혁 3학년 SF 185cm(*)
9번 유준식 3학년 F 187cm(*)
10번 최성민 2학년 C 190cm(*)
12번 강성우 1학년 G 183cm

지학의 별 마성지가 이끄는 전국의 강호.
PG 김성환으로 시작되는 패싱의 흐름이 좋고 외곽슛이 강하다. 다만 지역예선에서도 파악된 골밑의 수비부재는 가장 시급한 문제 지학의 별 마성지가 버티고 있는 전국 4강급 강팀. 전국 최고레벨의 슈터 마성지를 중심으로 한 외곽 공격은 전국 최고레벨. 다만 인사이드가 약한 것이 단점

전국대회에서는 8강에서 북산을 꺾고 4강까지 올라가 4강에서 해남과 붙고 해남과의 접전 끝에 짐
명정과 함께 4강으로 최종성적을 마무리 지음
전국구 슈팅가드 마성지와 수준급의 스몰포워드 김혁의 공격력이 뛰어나며 포인트가드의 패싱게임도 평균이상인 팀

마성지 3학년 SG 185cm
지학의 에이스로서 기복이 없는 정대만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캐릭터. 전국 최고의 슈팅가드로 꼽히는 선수.
지난 전국대회에서 지학고교를 전국 4위로 이끈 선수로 해남의 이정환도 인정하는 인물이다. 통칭 지학의 별.

김혁 3학년 SF 185cm
남훈처럼 3점슛에 특화된 퓨어슈터 형 선수로서 지학의 또다른 에이스이자 2인자이다. 단점이 포워드치고는 하드한 플레이를 못해 마성지는 가드인데도 불구하고 블로킹, 덩크 등 하드한 플레이를 많이 선보이는 데 비해 김혁은 그런 플레이를 잘 하지 못 한다.

유준식 3학년 F 187cm
그림 오른쪽의 선수로 최성민 다음으로 포스트진을 지키는 선수이다.

강성우 1학년 G 183cm
지학고교의 벤치워머로 가드로서 키와 실력이 모두 보통이다.

최성민 2학년 C 190cm
지학의 센터로 지학의 포스트진을 책임지는 선수이다. 외곽 위주의 공격으로 유명한 지학의 선수들 중에 유일하게 3점슛을 못 쏘는 선수


6. 대영고 (DAIEI GAKUEN) [오사카]


4번 이현수 3학년 SF 188cm(*)
5번 백현우 3학년 C 195cm(*)
6번 원혁중 3학년 PG 180cm(*)
7번 김정진 2학년 F 187cm(*)
10번 신영민 2학년 G 183cm(*)

주장 이현수를 중심으로 패싱 게임과 조직력이 탄탄한 팀. 전국 8강레벨
오사카 지역예선에서 풍전을 꺾고 1위로 진출한 팀으로 에이스 이현수를 중심으로 한 패싱게임에 능한 강팀

전국대회에서는 무난히 다른 팀들을 압도하고
16강에서는 강호 문익과의 접전끝에 8강에 진출
8강에서 김판석의 명정공업과 대결하게 되는데 장신인 이현수와 센터 백현우가 김판석을 잘 막아내지만 명정공업의 포인트 가드 김기완을 실수로 번번히 놓쳐서 8점차로 아쉽게 지게 됨.
대영의 강점은 어떤 강팀을 만나도 대영만의 패싱게임을 조직적으로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대패하는 경우는 없다는것. 스몰포워드 이현수의 패스센스와 공격력이 뛰어나며 센터 백현우도 상당히 강함


7. 포안고(FUKUWASI)


4번 황성진 3학년 SG 183cm(*)
5번 강건우 3학년 C 193cm (*)
6번 성찬현 3학년 PG 178cm (*)
7번 오진석 2학년 F 187cm (*)
9번 손정구 2학년 PF 190cm (*)

빠르고 정확한 슛팅을 가지고 있는 에이스 황성진과
안정된 수비와 공격력을 갖춘 센터 강건우가 팀의 주축
전국대회에선 8강정도의 레벨을 고수
슈팅가드 황성진과 센터 강건우가 버티고 있어 내외곽의 공격라인의 밸런스가 잘 갖춰진 팀
스몰포워드 역시 수준급 실력. 포안의 에이스 황성진은 지학의 별 마성지 다음으로 뛰어난 슈팅가드.

지학에게 16강에서 져 8강 진출 실패


8. 문익고(SEWABETSU)

 

4번 이주찬 3학년 SF 187cm(*)
5번 도재헌 3학년 C 195cm (*)
6번 이준 3학년 F 188cm (*)
7번 정상훈 2학년 SG 183cm (*)
8번 최강수 2학년 PG 180cm (*)

외곽슛, 속공이 주무기인 지역불명의 팀으로서 경안고와 같은 지역이라고 합니다. 문익고는 전통적으로 전국 8강을 거머쥐면서 8강 중 가장 뛰어난 실력을 가진 팀으로 인정을 받고 1차전을 59강이 아닌 32강에서 출발할 수 있는 특별 시드를 부여받았지만, 올해에는 팀내 막강 트리플라인을 앞세운 경안고에게 패해 오른쪽 보통 대진으로 밀려난 듯싶습니다. 문익고는 포안고와 비슷하게 SG-SF-C 라인이 주축으로서 2학년 정상훈, 3학년 이주찬, 도재헌이 팀의 중심입니다. 문익은 주로 속공, 외곽슛이 주무기인데 아마 상대적으로 경안보다 수비가 약간 약했던 것이 패인 중 하나라고 봅니다. 또한 에이스의 기량차나 PG 대결에서 밀린 것으로 추측.
풍전하고 비교를 할수 있겠지만 센터 도재헌이 있기 때문에 풍전보다는 인사이드 수비가 강함

전국대회 16강에서 패싱게임에 강한 대영과 접전 끝에 패하게 된다.

아쉽게 주니어 대표에 탈락한 에이스 이주찬 !!
이름 : 이주찬 - 히토시 하시모토
신장 : 187cm
체중 : 75~77kg 예상
번호 : 4번
포지션 : 스몰포워드 (SF)
라이벌 정찬우가 대체로 패싱플레이를 하는 플레이어인데 비해 이주찬은 서태웅과 비슷한 스타일의 선수로서 패스도 하기는 하지만 속공이나 외곽슛을 주무기로 하는 문익의 에이스인만큼 그런 것들을 좋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플레이스타일을 봐서는 정찬우보다는 침착함이 약간 떨어지는 듯한 느낌도 듭니다. 팀의 패는 에이스의 기량차에서 나오는 경향도 많으니까요. 하지만 이주찬은 주니어 국가대표 예선에 합격했으나 아쉽게 본선에는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주찬은 결코 정찬우에게 뒤떨어지는 플레이어는 아닙니다. 서태웅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는, 전통적인 전국8강의 성적을 거두고 있는 강호 문익의 명실공한 에이스

문익의 차기 에이스, 초록머리 꽃미남 정상훈 !!
이름 : 정상훈 - 후미야로 미키
신장 : 183cm
체중 : 70~72kg 예상
번호 : 7번
포지션 : 슈팅가드 (SG)
이주찬과 더불어 문익의 주무기인 속공과 외곽슛에 한 몫을 하는 든든한 2학년생입니다. 실력도 수준급인데다 서태웅, 김수겸 못지않은 잘생긴 외모로 수많은 여학생 팬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팀에서 슈터 역할을 맡고 있지만 약간 SF 기질도 있어서 더욱 좋은 선수입니다. 하지만 경안고와의 대결에서 3점슛의 명수인 고성모를 제대로 막지 못했다는 것이 흠.

문익의 골밑을 지키는 '가운데만 머리'의 부주장 센터
이름 : 도재헌 - 후쿠시마
신장 : 195cm
체중 : 87kg 예상
번호 : 5번
포지션 : 센터 (C)
가운데만 머리카락이 있는 특이한 머리스타일을 가진 큰 키의 센터입니다. 왠지 럭비선수같은 생김새에 발군의 실력을 갖춘 문익의 듬직한 부주장입니다. 키를 이용한 덩크, 블로킹, 인사이드 득점이 상당할 듯 하고요, 궂은일도 곧잘 해낼 듯싶습니다. 실력은 포안의 강건우와 견주어 보면 딱 좋을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씨름선수같은 강건우와 럭비선수같은 도재헌의 승부, 궁금하네요.


9. 경안(KATSUWASI)


4번 정찬우 3학년 SF 188cm (*)
5번 윤성근 3학년 C 190cm (*)
6번 고성모 3학년 SG 183cm (*)
7번 허종수 2학년 PG 178cm (*)
9번 박성현 1학년 F 188cm (*)

4,6,7번의 트리플라인은 지역예선에서 문익을 이기고
시드를 차지한 막강 라인업이다
전국대회 4강급의 강팀. 6번 슈팅가드 고성모는 지역예선 득점왕. 스몰포워드 정찬우와 슈팅가드 고성모를 중심으로 한 스몰포워드, 포인트가드, 슈팅가드
트리플 라인이 강력한 전국 4강 레벨 정도 강팀이지만

이번 전국대회에서는 해남에게 8강에서 진다.


10. 율도공업고 (AWATO) [카나가와현]


4번 권윤호 3학년 SF 184cm (*)
5번 한용수 3학년 PG 175cm (*)
6번 박태식 3학년 C 190cm (*)
7번 유한수 3학년 SG 178cm (*)
9번 김치형 1학년 PF 186cm (*)
*2년전만해도 도내 전통의 강호였으나 몇년새에 전략이 하락.. 약체팀이 되어버렸다.
전국대회 예선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11. 동화고 (TAKAHATA) [카나가와현]


4번 장혁진 3학년 PG 175cm
5번 김주석 3학년 C 190cm
6번 박진원 3학년 PF 184cm
8번 김진철 3학년 SG 174cm
9번 송재원 2학년 SF 184cm
*북산과의 지역예선 3회전에서 패배


전국 베스트 5
센터 : 신현철(산왕)
포인트가드 : 이정환(해남) - 전국 3대 포인트가드인 강석훈(상대), 이명헌(산왕)이 될 수도 있음
파워포워드 : 최지혁(상대)
슈터 : 마성지(지학)
스몰포워드 : 정우성(산왕) - 유성의 3학년 나현일도 될 수 있음.

카나가와현 올스타
4번 이정환 3학년 PG 184cm 79kg [해남](*)
5번 채치수 3학년 C 197cm 90kg [북산](*)
6번 김수겸 3학년 PG 178cm 66kg [상양]
7번 윤대협 2학년 SF(PG) 190cm 79kg [능남](*)
8번 신준섭 2학년 SG 189cm 71kg [해남](*)
9번 성현준 3학년 C 197cm 84kg [상양]
10번 구대식 3학년 PF 196cm 93kg [삼포]
11번 서태웅 1학년 SF 187cm 75kg [북산]
12번 오대일 3학년 SG 180cm 78kg [진무]
13번 마이클장 2학년 SF 192cm 85kg [녹성](*)
14번 오경민 1학년 PF(C) 190cm 79kg [무원]
15번 변덕규 3학년 C 202cm 90kg [능남]

전국대회 올스타
4번 마성지 3학년 SG 185cm[지학](*)
5번 이명헌 3학년 PG 180cm [산왕](*)
6번 정찬우 3학년 SF 188cm [경안]
7번 이현수 3학년 SF 188cm [대영]
8번 강건우 3학년 C 193cm [포안]
9번 정우성 2학년 SF 188cm [산왕](*)
10번 최지혁 3학년 PF 194cm 84kg[상대](*)
11번 나현일 3학년 SF 190cm [유성]
12번 이주찬 3학년 SF 187cm[문익]
13번 강석훈 3학년 PG 180cm 70kg[상대]
14번 신현철 3학년 C(PF,SF) 190cm [산왕]
15번 김판석 1학년 C 199cm 100kg [명정](*)


루키올스타팀

스타팅
김판석 1학년 C 199cm 100kg [명정]
오경민 1학년 PF(C) 190cm 79kg [무원]
서태웅 1학년 SF 187cm 75kg [북산]
하명운 1학년 SG 185cm 72kg [녹성]
조경화 1학년 PG 177cm 65kg [녹성]

후보
강백호 1학년 PF(C)189cm 83kg [북산]
전호장 1학년 SF(SG) 178cm 65kg [해남]
남광일 1학년 C(PF) 192cm 89kg [진무]
우성민 1학년 SF 188cm 78kg [상대]
이성규 1학년 SG 180cm [정산]
박성현 1학년 F 188cm [경안]
신현필 1학년 C 210cm 130kg [산왕]

소포모어팀

스타팅
최성민 2학년 C 190cm [지학]
윤대협 2학년 SF(PG) 190cm 79kg [능남]
정우성 2학년 SF 188cm [산왕]
신준섭 2학년 SG 189cm 71kg [해남]
사진우 2학년 PG 179cm [유성]

후보
나대룡 2학년 PG 183cm [풍전]
정상훈 2학년 SG 183cm [문익]
송태섭 2학년 PG 168cm 59kg [북산]
황태산 2학년 PF 188cm 80kg [능남]
신진석 2학년 SG 184cm [상성]
오진석 2학년 F 187cm [포안]